-
List
숫자나 문자같은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담는 공간이다.
list 자료형(Data type)을 *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*초기화 라고 한다.
- 문법
1squares = [1, 'four', 9, 16, 25] #list를 만들고 값을 초기화하는 방법cs list 자료형은 숫자와 문자 구분없이 한 곳에 담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.
생성한 list를 출력해보자.
문법 -
1print(squares)cs 'print(변수명)'을 할 경우 list의 값들이 모두 출력된다.
이번엔 list의 값들 중 특정한 값을 출력해보자.
문법 -
1print(squares[1]) #list의 값을 꺼내는 방법 "변수명[index]"cs 'print(변수명[index])'로 작성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할 수 있다.
index란 list를 초기화할 때 *값을 등록하게 되는데 개발을 하다보면 필요에 의해 list에서 특정한 값들을 불러올 필요가 생긴다.
이 때 원하는 값을 불러오기 위해 각 값에는 *index가 매핑된다.
123* [1, 'four', 9, 16, 25] ← 이러한 것들을 값이라고 한다.* [0, 1, 2, 3, 4] ← 위에서 생성한 값의 순서를 기준으로 0, 1, 2, 3, 4 라는 index가 부여된다.cs 개발을 하다보면 생성된 list의 총 길이가 알아보고 싶은 경우가 있다.
이때에는 아래와 같이 알아낼 수 있다.
문법 -
1print(len(squares)) #몇개의 값이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 (list의 길이) "len(변수명)"cs 이번엔 list의 값을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자.
문법 -
1squares[1] = 4 #list의 값을 수정하는 방법 "변수명[index] = 수정할 값"cs 값을 변경하고 싶은 'index(=위치)'를 정해서 수정할 값을 등록해주면 된다.
출력해보자.
1print(squares)cs [변경전] [변경 후]
특정 위치의 값을 삭제하는 방법도 알아보자.
문법 -
1del squares[2] #list의 값을 삭제하는 방법 "del 변수명[index]"cs 값을 삭제하고 싶은 index를 정해서 변수명 앞에 'del'구문을 적어주면 된다.
출력해보자.
1print(squares)cs 이 때 삭제된 index가 값의 길이에 따라 다시 초기화된다.
12345#2번 index가 삭제되기 전[0, 1, 2, 3, 4]#2번 index가 삭제되고 난 후[0, 1, 2, 3]cs list의 값을 삭제했으니 이번엔 추가하는 방법도 알아보자.
문법 -
1squares.append('jamong') #list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 "변수명.append(값)"cs append()함수를 사용하여 '변수명.append(값)'으로 list에 값을 새로 추가할 수 있다.
출력해보자.
1print(squares)cs list에 새로운 값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법 - 반복문 (0) 2018.11.15 문법 - Dictionary (0) 2018.11.14 문법 - 조건문 (0) 2018.11.14 문법 - Boolean (0) 2018.11.14 설치 및 연동 - Windows (0) 2018.11.13